안녕하세요 PPL NOW 입니다~!
AI 기술이 나날이 발전해 가는 요즘..!!
PPL에도 AI기술이 적용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AI 기반 가상 제품 배치, AI 기반 디지털 PPL이라고도 불리는
VPP 기술!!(Virtual Product Placement)
PPL NOW와 함께 알아가 보겠습니다~! 😆

우선 AI 기반 디지털 PPL(VPP)에 대해 간략히 말씀드리자면,
디지털 AI기술을 활용해 광고를 후편집으로 삽입하는 기술인데요..!

촬영이 완료된 장면에 브랜드 옥외 광고 노출 및 제품을 배치하는 등
콘텐츠 촬영 시 실시간으로 PPL 상품을 노출하는게 아닌,
후편집 작업시에 가상으로 추가하는 방식인거죠 😀

출처 : Mirriad Imsights
VPP기술이 적용 되기 전 빈 공간이 어떻게 변했는지 보이시나요??😉
아주 자연스럽게 노출 상품 및 브랜드 광고가 보이는데요...!!
기술적 원리 및 구현 단계는 이렇습니다!!!

1. 영상 분석 및 객체 추적(Object Tracking)
촬영 완료된 콘텐츠의 영상을 AI 기술로 분석하고,
영상 속에서 광고가 들어갈만한 물체(객체)를 인공지능이 따라다니며 추적 하여
물체의 움직임과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노출 돼야 할 제품이 삽입 될 공간을 찾아 계속 확인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예를 들어,
배우가 빈 컵을 들고 있는 장면이라면, AI는 컵의 위치와 움직임을 계속 추적해
빈 컵 위에 브랜드 로고나 특정 디자인을 넣을 수 있도록 하고,
배우가 무지 티셔츠를 입고 움직이면 그 배우의 움직임을 따라가면서
티셔츠 위에 로고를 넣기 가장 자연스러운 위치를 잡아줍니다.
2. 디지털 제품 모델링(3D Modeling, CGI)
분석 및 객체 추적이 완료 되었다면 다음은 광고 제품을 모델링 해야겠죠!
실제 광고에서 보여주고 싶은 제품, 옥외 광고, 브랜드 로고 등의 디자인을 실제처럼 만드는 작업을 거칩니다!
3. 영상 합성 기술(Digital Compositing)
광고 노출 상품의 모델링 까지 끝났다면 영상 합성이 시작됩니다!
촬영된 실제 영상과 AI기술로 만든 가상의 광고 상품을 자연스럽게 합쳐서 원래부터 그 장면에 있었던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과정인 거죠.
단순히 제품을 배치하는 것 뿐만이 아니라, AI가 추적한 객체 공간 및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빛의 방향, 색감, 그림자, 질감 등을 실제 촬영 장면과 최대한 똑같이 맞춘답니다.
(배우의 움직임까지 자연스럽게 따라가며 각도 별로 달라지는 빛까지 합성 적용이 가능합니다..!)
4. 타겟 맞춤형 광고 노출
영상 합성까지 끝났으면 마지막으로 광고가 노출돼야겠죠!
하나의 콘텐츠에 AI 기술을 활용하여 시청자별로 각기 다른 제품 및 브랜드를 보여주는 기술이 바로 VPP!
같은 장면을 봐도 한국에서 콘텐츠를 보는 시청자에겐 한국 브랜드의 제품이 보이고,
미국에서 보는 시청자에게는 미국 브랜드의 제품이 보이게 할 수 있답니다.
이렇든 국가나 지역에 따라 선호하는 브랜드 및 광고 상품이 달라진다면..!
타겟 맞춤형 광고 노출이 가능한 VPP기술이 딱이겠죠~😊

CJ ENM은 드라마 '마에스트라'를 통해 국내 최초 영상 AI 기술 기반 디지털 PPL을 진행하여,
삼성 비스포크 제품 및 핸드크림 제품의 자연스러운 노출 순간과 영역을 찾아 이질감 없는 VPP 기술을 보여줬습니다.
또, tvN의 '에드워드리의 컨츄리쿡'방송에서도 영상 촬영 이후에 PPL노출을 결정하여 VPP기술로 두유 제품을 노출시켰답니다!
AI기반 디지털 PPL을 진행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특장점들이 있는데요..!!

1) 제작 유연성 확보
기술 적용 사례 소개에도 말씀드렸지만, 촬영을 완료한 후 AI기술을 통해
후편집으로 광고 대상을 삽입하기 때문에,
촬영 시점에 광고주가 정해지지 않아도 자유롭게 촬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텐츠 제작 유연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는 거죠 ☺
제작 비용과 광고 집행 비용도 절감할 수 있으니 일석이조!
2) 맞춤형 타겟팅
동일 콘텐츠가 송출 되어도, 국가별, 지역별, 시청자 특성별로
서로 다른 제품 및 브랜드를 노출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 맞춤형 광고가 가능합니다.
3) 글로벌 콘텐츠화 / 시장 진출 용이성
마찬가지로 같은 콘텐츠에 국가별로 선호하는 브랜드 제품을 맞춤형으로 적용할 수 있기에,
해외 시작 진출시 효과적인 현지화 마케팅이 가능합니다!!
세계 시장을 넓게 보고 있는 브랜드라면 한 콘텐츠로 여러 시장을 노려볼 수 있으니,
VPP기술은 최적화 된 기술이라 볼 수 있겠죠??
4) 콘텐츠의 수명 연장
또한, 방영 후의 시점이나 분기별 시즌에 따라 최신 브랜드 및 제품으로도
지속적인 교체 작업도 가능하기 때문에,
콘텐츠의 마케팅적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답니다.
5) 시청자 거부감 최소화
자연스러운 PPL이 알고 보면 더 재밌는 것 처럼
AI 기술이 적용되어 여러가지 디지털 기술이 함께 가미된 광고가 자연스럽게 콘텐츠 속에 녹아들기 때문에,
직접적이고 과도한 광고 노출에서 발생하는 시청자의 거부감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일반 PPL과 AI 기반 디지털 PPL의 차이점을 한눈에 확인해볼까요??😉

광고 시장의 대세 기술중 하나인 AI 기반 디지털 PPL!!
오늘의 PPL 정보, 어떠셨나요??
소비자에게 더욱 효과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AI 기술로 다양한 전략을 짜볼 수 있는 것도 또 다른 마케팅의 재미일 것 같습니다 😄
오늘도 유익한 시간 되셨길 바라며, 다음에도 유용한 정보로 인사 드리겠습니다!!
잘 아니까, 잘 하니까 !
이상 , PPL NOW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PPL NOW 입니다~!
AI 기술이 나날이 발전해 가는 요즘..!!
PPL에도 AI기술이 적용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AI 기반 가상 제품 배치, AI 기반 디지털 PPL이라고도 불리는
VPP 기술!!(Virtual Product Placement)
PPL NOW와 함께 알아가 보겠습니다~! 😆
우선 AI 기반 디지털 PPL(VPP)에 대해 간략히 말씀드리자면,
디지털 AI기술을 활용해 광고를 후편집으로 삽입하는 기술인데요..!
촬영이 완료된 장면에 브랜드 옥외 광고 노출 및 제품을 배치하는 등
콘텐츠 촬영 시 실시간으로 PPL 상품을 노출하는게 아닌,
후편집 작업시에 가상으로 추가하는 방식인거죠 😀
출처 : Mirriad Imsights
VPP기술이 적용 되기 전 빈 공간이 어떻게 변했는지 보이시나요??😉
아주 자연스럽게 노출 상품 및 브랜드 광고가 보이는데요...!!
기술적 원리 및 구현 단계는 이렇습니다!!!
1. 영상 분석 및 객체 추적(Object Tracking)
촬영 완료된 콘텐츠의 영상을 AI 기술로 분석하고,
영상 속에서 광고가 들어갈만한 물체(객체)를 인공지능이 따라다니며 추적 하여
물체의 움직임과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노출 돼야 할 제품이 삽입 될 공간을 찾아 계속 확인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예를 들어,
배우가 빈 컵을 들고 있는 장면이라면, AI는 컵의 위치와 움직임을 계속 추적해
빈 컵 위에 브랜드 로고나 특정 디자인을 넣을 수 있도록 하고,
배우가 무지 티셔츠를 입고 움직이면 그 배우의 움직임을 따라가면서
티셔츠 위에 로고를 넣기 가장 자연스러운 위치를 잡아줍니다.
2. 디지털 제품 모델링(3D Modeling, CGI)
분석 및 객체 추적이 완료 되었다면 다음은 광고 제품을 모델링 해야겠죠!
실제 광고에서 보여주고 싶은 제품, 옥외 광고, 브랜드 로고 등의 디자인을 실제처럼 만드는 작업을 거칩니다!
3. 영상 합성 기술(Digital Compositing)
광고 노출 상품의 모델링 까지 끝났다면 영상 합성이 시작됩니다!
촬영된 실제 영상과 AI기술로 만든 가상의 광고 상품을 자연스럽게 합쳐서 원래부터 그 장면에 있었던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과정인 거죠.
단순히 제품을 배치하는 것 뿐만이 아니라, AI가 추적한 객체 공간 및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빛의 방향, 색감, 그림자, 질감 등을 실제 촬영 장면과 최대한 똑같이 맞춘답니다.
(배우의 움직임까지 자연스럽게 따라가며 각도 별로 달라지는 빛까지 합성 적용이 가능합니다..!)
4. 타겟 맞춤형 광고 노출
영상 합성까지 끝났으면 마지막으로 광고가 노출돼야겠죠!
하나의 콘텐츠에 AI 기술을 활용하여 시청자별로 각기 다른 제품 및 브랜드를 보여주는 기술이 바로 VPP!
같은 장면을 봐도 한국에서 콘텐츠를 보는 시청자에겐 한국 브랜드의 제품이 보이고,
미국에서 보는 시청자에게는 미국 브랜드의 제품이 보이게 할 수 있답니다.
이렇든 국가나 지역에 따라 선호하는 브랜드 및 광고 상품이 달라진다면..!
타겟 맞춤형 광고 노출이 가능한 VPP기술이 딱이겠죠~😊
CJ ENM은 드라마 '마에스트라'를 통해 국내 최초 영상 AI 기술 기반 디지털 PPL을 진행하여,
삼성 비스포크 제품 및 핸드크림 제품의 자연스러운 노출 순간과 영역을 찾아 이질감 없는 VPP 기술을 보여줬습니다.
또, tvN의 '에드워드리의 컨츄리쿡'방송에서도 영상 촬영 이후에 PPL노출을 결정하여 VPP기술로 두유 제품을 노출시켰답니다!
AI기반 디지털 PPL을 진행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특장점들이 있는데요..!!
1) 제작 유연성 확보
기술 적용 사례 소개에도 말씀드렸지만, 촬영을 완료한 후 AI기술을 통해
후편집으로 광고 대상을 삽입하기 때문에,
촬영 시점에 광고주가 정해지지 않아도 자유롭게 촬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텐츠 제작 유연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는 거죠 ☺
제작 비용과 광고 집행 비용도 절감할 수 있으니 일석이조!
2) 맞춤형 타겟팅
동일 콘텐츠가 송출 되어도, 국가별, 지역별, 시청자 특성별로
서로 다른 제품 및 브랜드를 노출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 맞춤형 광고가 가능합니다.
3) 글로벌 콘텐츠화 / 시장 진출 용이성
마찬가지로 같은 콘텐츠에 국가별로 선호하는 브랜드 제품을 맞춤형으로 적용할 수 있기에,
해외 시작 진출시 효과적인 현지화 마케팅이 가능합니다!!
세계 시장을 넓게 보고 있는 브랜드라면 한 콘텐츠로 여러 시장을 노려볼 수 있으니,
VPP기술은 최적화 된 기술이라 볼 수 있겠죠??
4) 콘텐츠의 수명 연장
또한, 방영 후의 시점이나 분기별 시즌에 따라 최신 브랜드 및 제품으로도
지속적인 교체 작업도 가능하기 때문에,
콘텐츠의 마케팅적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답니다.
5) 시청자 거부감 최소화
자연스러운 PPL이 알고 보면 더 재밌는 것 처럼
AI 기술이 적용되어 여러가지 디지털 기술이 함께 가미된 광고가 자연스럽게 콘텐츠 속에 녹아들기 때문에,
직접적이고 과도한 광고 노출에서 발생하는 시청자의 거부감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일반 PPL과 AI 기반 디지털 PPL의 차이점을 한눈에 확인해볼까요??😉
광고 시장의 대세 기술중 하나인 AI 기반 디지털 PPL!!
오늘의 PPL 정보, 어떠셨나요??
소비자에게 더욱 효과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AI 기술로 다양한 전략을 짜볼 수 있는 것도 또 다른 마케팅의 재미일 것 같습니다 😄
오늘도 유익한 시간 되셨길 바라며, 다음에도 유용한 정보로 인사 드리겠습니다!!
잘 아니까, 잘 하니까 !
이상 , PPL NOW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